맨위로가기

대한민국 교통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교통부는 1948년 11월 4일 설치되어, 정부조직법과 교통부직제에 근거하여 설립되었다. 해무청, 철도청, 항만청 등을 외청으로 두었으며, 1994년 12월 23일 건설부와 통합되어 건설교통부로 개편되었다. 초대 장관은 민희식이며, 역대 장관과 차관 명단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4년 폐지 - 대한민국 경제기획원
    대한민국 경제기획원은 경제 정책 총괄, 예산 편성 및 집행, 자원 동원과 투자 등을 관장했던 중앙행정기관으로, 1961년 발족하여 경제 개발을 주도하고 1994년 재무부와 통합되며 폐지되었다.
  • 1994년 폐지 - 영주시
    영주시는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을 경계로 봉화군, 예천군, 안동시 등과 접하고 내성천 등의 하천이 흐르며 인삼과 사과가 특산물인 도농복합형태의 시이다.
  • 1948년 설립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1948년 설립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부의 부처이며, 대한민국 국군을 지휘·감독하고 관련 기관을 소속 기관으로 두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진행한다.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토교통부의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한민국 교통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정부 기관 정보
이름교통부
현지어 이름交通部
설립일1948년 11월 4일
전신(없음)
해산일1994년 12월 23일
후신문화체육부
건설교통부
산하기관해무청 (55.02 ~ 61.10)
철도청 (63.09 ~ 94.12)
항만청 (76.03 ~ 77.12)
해운항만청 (77.12 ~ 94.12)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대한민국 교통부는 정부조직법 [법률 제1호, 1948.07.17 제정] 제14조 및 제24조[1]와 교통부직제 [대통령령 제26호, 1948.11.04 제정] 제1조[2]에 의거하여 설치되었다.

3. 연혁

1948년 11월 4일 대한민국 정부는 교통부를 신설하였다. 1955년 2월 17일에는 외청으로 해무청을 설치하였다. 1961년 10월 1일 해무청을 폐지하였다. 1963년 9월 1일에는 외청으로 철도청을 설치하였다. 1976년 3월 13일에는 외청으로 항만청을 설치하였고, 1977년 12월 30일 항만청을 해운항만청으로 개칭하였다. 1994년 12월 23일 건설부와 통합하여 건설교통부로 개편하였다.

4. 조직

감사관은 1987년 12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존속하였다. 공보관은 1973년 3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존속하였다. 관광국은 1981년 1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그리고 1963년 8월부터 1979년 9월까지 존속하였다. 관광지도국은 1979년 9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존속하였다. 관광진흥국은 1979년 9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존속하였다. 교통공무원교육원은 1964년 10월부터 1967년 12월까지 존속하였다. 교통공무원훈련소는 1961년 10월부터 1964년 10월까지 존속하였다. 군산지방해운국은 1964년 10월부터 1976년 3월까지 존속하였다. 기획관리실은 1963년 12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존속하였다. 대전철도국은 1950년 1월부터 1963년 8월까지 존속하였다. 도시교통국은 1990년 6월부터 1994년 4월까지, 그리고 1979년 4월부터 1981년 11월까지 존속하였다. 동해지방해난심판원은 1991년 2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존속하였다. 마산부두국은 1945년 11월부터 1949년 2월까지 존속하였다.

4. 1. 외청

철도청, 해운항만청이 있었다.

5. 역대 장·차관

5. 1. 교통부 장관

(현 서울)미국 네바다주립대2대허정(許政)1948년 10월 4일 ~ 1950년 5월 10일경남 부산
(현 부산 동구)고려대서울특별시장, 외무부 장관, 사회부 장관, 무임소 장관, 내각수반,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 제헌 국회의원, 민주당 최고위원3대김석관(金錫寬)1950년 5월 10일 ~ 1953년 2월 3일경남개성고교교통부 차관4대윤성순(尹珹淳)1953년 2월 3일 ~ 1954년 2월 10일경기 포천미국 콜롬비아대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제2·3·4대 국회의원, 국회 상공·국방·외무위원회 위원장5대이종림(李鍾林)1954년 2월 10일 ~ 1957년 6월 9일한양
(현 서울)고려대교통부 차관, 대한축구협회장6대문봉제(文鳳濟)1957년 6월 9일 ~ 1958년 9월 9일평남 개천일본 니혼대학내무부 치안국장, 국무원 사무국장7대최인규(崔仁圭)1958년 9월 9일 ~ 1959년 3월 20일경기 광주연세대학교외자청장, 내무부 장관, 제4대 국회의원8대김일환(金一煥)1959년 3월 20일 ~ 1960년 4월 28일강원 철원중국 군경리학교국방부 차관, 상공부 장관, 내무부 장관, 재향군인회장, 국제관광공사 총재, 한국전력공사 사장9대석상옥(石常玉)1960년 4월 28일 ~ 1960년 8월 19일한양
(현 서울)양정고교교통부 자재국장, 교통부 차관제2공화국10대정헌주(鄭憲柱)1960년 8월 23일 ~ 1960년 9월 12일경남 고성일본 중앙대국무원 사무처장, 제2·4·5·8·9대 국회의원, 신민당 정책심의위원회 의장, 헌법기초위원회 위원장11대박해정(朴海楨)1960년 9월 12일 ~ 1961년 5월 3일경북 경산일본 중앙대제헌·3·4·5대 국회의원, 민주당 중앙위원12대박찬현(朴瓚鉉)1961년 5월 3일 ~ 1961년 5월 18일경남 부산
(현 경남과 분리)일본 메이지대학문교부 장관, 제헌·4·5·9대 국회의원, 터키 대사, 경향신문 사장13대김광옥(金光玉)1961년 5월 20일 ~ 1961년 8월 16일함북 명천해사부산수산대학교 학장14대박춘식(朴春植)1961년 8월 16일 ~ 1963년 2월 8일함북 명천합동군사대삼화축산 사장15대김윤기(金允基)1963년 2월 8일 ~ 1964년 7월 8일전북 김제일본 와세다대학교통부 차관, 건설부 장관, 무임소 장관, 한국건축가협회장, 대한축구협회제3공화국16대안경모(安京模)1964년 7월 8일 ~ 1967년 10월 3일황해 벽성일본 도쿠시마대학건설부 차관, 한국수자원개발공사 사장,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고문17대박경원(朴璟遠)1967년 10월 3일 ~ 1968년 5월 21일전남 영광단국대학교내무부 장관, 체신부 장관, 제10대 국회의원, 5·16장학회 이사, 대한석탄공사 총재18대강서룡(姜瑞龍)1968년 5월 21일 ~ 1969년 10월 21일강원 통천일본 메이지대학내무부 치안국장, 국방부 차관19대백선엽(白善燁)1969년 10월 21일 ~ 1971년 1월 28일평남 강서만주군관학교육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중화민국 대사, 캐나다 대사, 프랑스 대사, 한국종합화학공업 사장20대장성환(張盛煥)1971년 1월 28일 ~ 1971년 11월 24일경기 경성
(현 서울)일본 와세다대학공군참모총장, 타이 대사, 한국관광공사 사장21대김신(金信)1971년 11월 24일 ~ 1974년 9월 18일중국 상하이중국 시난연합대학공군참모차장, 공군참모총장, 제9대 국회의원, 중화민국 대사제4공화국22대최경록(崔慶祿)1974년 9월 18일 ~ 1977년 11월 17일충북 음성미국 참모대학육사 교장, 육군참모차장, 육군참모총장, 제10대 국회의원, 일본 대사, 영국 대사23대민병권(閔丙權)1977년 11월 17일 ~ 1978년 12월 22일황해 사리원일본 중앙대원호처장, 무임소 장관, 제6·7·8·9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원내총무,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24대황인성(黃寅性)1978년 12월 22일 ~ 1979년 12월 14일전북 무주육사전라북도지사, 국무총리비서실장, 조달청장, 농림수산부 장관, 국무총리, 제11·12·14대 국회의원, 민주자유당 상임고문25대유양수(柳陽洙)1979년 12월 14일 ~ 1980년 5월 22일전남 광주
(현 전남과 분리)육사동력자원부 장관, 필리핀 대사, 월남 대사, 오스트리아 대사, 한국석유개발공사 이사장26대김재명(金在命)1980년 5월 22일 ~ 1980년 9월 2일전남 강진육사병무청장, 원호처장, 국방부 인력차관보27대고건(高建)1980년 9월 2일 ~ 1981년 3월 10일경기 경성
(현 서울 종로)서울대학교전라남도지사, 서울특별시장, 농림수산부 장관, 내무부 장관,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 제12대 국회의원제5공화국28대윤자중(尹子重)1981년 3월 10일 ~ 1982년 5월 21일황해 해주공사육사 교장, 공군참모차장, 공군참모총장29대이희성(李熺性)1982년 5월 21일 ~ 1983년 10월 15일경남 고성육사육군참모차장, 육군참모총장, 대한주택공사 이사장, 대한방직협회장30대손수익(孫守益)1983년 10월 15일 ~ 1986년 8월 27일전남 장흥서울대학교충청남도지사, 경기도지사, 행정조정실장, 산림청장, 내무부 차관, 한국경제사회연구원 회장31대차규헌(車圭憲)1986년 8월 27일 ~ 1988년 2월 24일경기 평택육사, 건국대학교육사 교장, 육군참모차장, 비상기획위원회 위원장노태우 정부32대이범준(李範俊)1988년 2월 25일 ~ 1988년 12월 4일강원 강릉육사제11·12대 국회의원33대김창근(金昌槿)1988년 12월 5일 ~ 1990년 3월 18일경북 영주서울대학교제6·7·8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정책위원회 의장, 민족문제연구소장34대김창식(金昶植)1990년 3월 19일 ~ 1990년 12월 27일전남 강진서울대학교전라남도지사, 총무처 차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총장35대임인택(林寅澤)1990년 12월 27일 ~ 1992년 3월 31일전남 순천서울대학교공업진흥청장, 상공부 차관36대노건일(盧健一)1992년 3월 31일 ~ 1993년 2월 25일경기 경성
(현 서울)서울대학교한림대학교 총장, 충청북도지사, 대통령비서실 행정수석비서관, 산림청장, 내무부 차관문민 정부37대이계익(李啓謚)[3]1993년 2월 26일 ~ 1993년 10월 18일경기 평택서울대학교한국관광공사 사장38대정재석(丁渽錫)1993년 10월 18일 ~ 1993년 12월 21일전북 장수서울대학교건설부 차관, 경제기획원 차관, 상공부 장관, 경제부총리39대오명(吳明)1993년 12월 21일 ~ 1994년 12월 23일경기 경성
(현 서울)서울대학교아주대학교 총장, 체신부 차관, 체신부 장관, 과기부총리, 동아일보 사장


5. 2. 교통부 차관

역대 교통부 차관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정부대수이름임기출신지출신학교비고
제1공화국초대강형섭1948년 8월 15일 ~ 1949년 1월 14일
2대나기호1949년 1월 14일 ~ 1949년 8월 20일한양
(현 서울)
미국 콜롬비아대
3대김석관1949년 8월 20일 ~ 1950년 5월 9일경남개성고교교통부 장관
4대김석명1950년 5월 31일 ~ 1953년 4월 24일강원삼척지방운수국장
5대이종림1953년 4월 24일 ~ 1954년 2월 9일한양
(현 서울)
고려대교통부 장관&대한축구협회
6대김윤기1954년 2월 19일 ~ 1957년 5월 22일전북 김제일본 와세다대교통부 장관&건설부 장관&무임소 장관&한국건축가협회장&대한축구협회
7대석상옥1957년 6월 24일 ~ 1958년 9월 16일한양
(현 서울)
양정고교교통부 자재국장&교통부 장관
8대송원영1958년 9월 16일 ~ 1960년 5월 2일충남 대덕
(현 대전 대덕)
일본 와세다대교통부 철도국장
9대안무경1960년 5월 2일 ~ 1960년 9월 2일한양
(현 서울)
서울대
제2공화국10대[4]천세기1960년 8월 1일 ~ 1961년 5월 1일경기 양평서울대제3·5대 국회의원
10대[5]장덕용1960년 9월 2일 ~ 1960년 9월 16일평북 의주서울대국무원 사무처 사무차관
11대[5]정진동1960년 9월 16일 ~ 1961년 6월 23일경북 예천서울대제6·7대 국회의원
12대박정구1961년 7월 14일 ~ 1962년 6월 21일함북서울대대전지방철도국장
13대김병식1962년 6월 21일 ~ 1963년 5월 28일경북 대구
(현 경북과 분리)
일본 도쿄대
14대이창석1963년 5월 23일 ~ 1964년 7월 15일평남 평양
(현 평남과 분리)
평양사범학교과학기술처 차관
제3공화국
15대김태동1964년 7월 15일 ~ 1966년 9월 28일충북 괴산일본 메이지대경제기획원 차관&체신부 장관&보건사회부 장관&가족계획연구원 이사장&전국경제인연합회 이사&한국신문협회 이사
16대이용1966년 9월 28일 ~ 1970년 10월 21일함북 경성육사강원도지사&철도청장&인천제철 사장
17대이경호1970년 10월 21일 ~ 1971년 6월 12일전남 광양일본 규슈대법무부 차관&국방부 차관&보건사회부 장관&제10대 국회의원
18대이재철1971년 6월 12일 ~ 1976년 3월 11일경북 대구
(현 경북과 분리)
서울대과학기술처 차관
제4공화국
19대김완수1976년 3월 11일 ~ 1980년 7월 15일강원 홍천서울대교통부 항공국장·관광국장·기획관리실장
20대문명린1980년 7월 15일 ~ 1980년 12월 8일평남 개천동국대해운항만청장
21대이웅수1980년 12월 8일 ~ 1986년 1월 8일충남 연기
(현 세종)
서울대경제기획원 경제협력국장·조사통계국장
제5공화국
22대유흥수1986년 1월 8일 ~ 1987년 1월 22일경남 합천서울대충청남도지사&대통령비서실 각주비서관&내무부 치안본부장&제12·14·15·16대 국회의원&한나라당 상임고문
23대김창갑1987년 1월 22일 ~ 1988년 3월 4일경남 진양
(현 경남 진주)
서울대교통부 도시교통국장
노태우 정부24대조경식1988년 3월 5일 ~ 1989년 12월 1일경남 밀양서울대한국해양대 총장&해운항만청장&환경처 장관&농림수산부 장관&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25대이재창1989년 12월 1일 ~ 1990년 6월 20일경기 파주서울대경기도지사&인천직할시장&환경처 장관&제15·16·17대 국회의원&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새마을운동중앙회
26대장상현1990년 6월 21일 ~ 1993년 3월 1일경남 밀양성균관대상공부 기초공업국장&동력자원부 차관
문민정부27대구본영1993년 3월 1일 ~ 1994년 12월 23일경기 개성서울대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과학기술처 차관&과학기술처 장관&주 OECD대사


참조

[1] 문서 교통부장관은 륙운·수운·항공에 관한 사무를 장리한다.
[2] 문서 교통부는 육운, 수운, 항공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3] 문서 서해훼리호 침몰사고에 대한 책임으로 경질.
[4] 문서 정무차관
[5] 문서 사무차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